반응형
안녕하세요
후후애비입니다.
2023년 1월 1일부터 기본공급약관 시행세칙 개정에 따라 아래와 같이 충전시간대가 변경됩니다.
참고로 기존 경부하 시간은 23시 ~ 09시까지였으며,
변경된 경부하 시간은 22시 ~ 08시로 1시간 앞당겨졌습니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아침에 출근하기 때문에 9시까지 충전하는게 현실적으로 불가능 했는데,
금번 개정으로 1시간 정도 더 충전하게 되는 좋은 효과를 가져오게 됐습니다.
파워큐브코리아(ev line)에서도 즉시 변경된 충전시간을 게재하였고요
실제로 충전테스트를 해보니 오후 10시부터 충전이 되네요
그리고 한전에서 1분기부터 kW당 요금을 13.1원 정도 올리는걸로 고시를 했고,
에버온과 같은 민간 충전사업자들이 즉시 요금 인상을 반영 했는데,
파워큐브는 아직 인상 공지는 없네요
아마도 월말에 사후 정산 한다고 통수를 칠것 같긴 한데 ㅋㅋㅋ
이동형 표준 요금제
EV-LINE 이동형 표준 요금제 (기후환경요금,연료비조정요금,전력기금,부가세 별도) | |||||
구분 | 기본요금 | 전력량요금(원/kWh) | |||
시간대 | 여름철 | 봄,가을철 | 겨울철 | ||
저압 | 17,170 | 경부하 | 72.1 | 63.6 | 86.8 |
중간부하 | 145.2 | 75.4 | 128.1 | ||
최대부하 | 232.4 | 80.3 | 190.7 | ||
고압 | 17,740 | 경부하 | 56.4 | 58.4 | 73.4 |
중간부하 | 110.6 | 69.2 | 100.9 | ||
최대부하 | 178.8 | 73.1 | 152.6 |
변경된 한국전력공사 전기요금 구조 전기요금 = (A)기본요금 + (B)전력양요금 + (C)기후환경요금 + (D)연료비조정요금 * 전기자동차 특례요금제 할인 폐지 * 기후환경요금 kWh당 7.3원 부과(매년 변동예정) * 연료비조정요금 kWh당 5원 부과(매분기 변동예정) 최종청구금액 = 전기요금(A+B+C+D) + 부가가치세 + 전력산업기반기금 * 부가가치세 = 전기요금(A+B+C+D)의 10% * 전력산업기반기금 = 전기요금(A+B+C+D)의 3.7% 해당 요금은 2022년 7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이동형 충전기요금은 실 충전료 및 기본요금이 청구됩니다. 기본요금은 전력 기본료, 통신비, 서버이용료로 구성됩니다. * 기본료는 통신비 5,000 + 서버이용료 5,000 + 전력 기본료(계약전력 3kW * 기본요금) 현재 주택용전력(저압, 고압)사용자는 누진제로인하여 이동형 충전기 사용이 불가하오니 이용에 참고바랍니다. - 단, 추후 한전과 연동시 사용이 가능합니다. |
그나저나 전기차 구매하시려는 분들께서는
보조금도 줄고, 차량 가격 인상에, 전기충전 요금까지 올라서
현 시점에 전기차를 구매하는게 과연 메리트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차량가격 인상전이라면 괜찮았겠지만,
차량가격 인상분에, 충전비 인상분을 고려하면 그 차액으로 기름을 떼우는게(하이브리드 차량이라면 더욱더) 낫다는 생각이 듭니다.
전기차로 겨울을 처음 나보는데 확실히 주행거리가 팍팍 줄다보니 장거리 갈 때는 좀 불편한점이 있네요
반응형
'전기차 관련 정보 > 충전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워큐브 이동형 충전기 경부하 기준 요금계산표 (0) | 2023.05.31 |
---|---|
전기차의 충전속도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것은.. (0) | 2022.10.11 |
비 올 때 전기차 충전해도 됩니다. 문제 없습니다. (0) | 2022.09.29 |
환경부 전기차용 충전카드 발급 방법 (0) | 2022.09.28 |
전기차 충전 할인 신용카드 비교(신한 EV, 삼성 ID EV) (0) | 2022.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