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2 (양극화와 사회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세 식구 숨진 집 안 곳곳에 유아용품.. "남편 대리기사로 일해" 최근에 올라온 안타까운 기사입니다. 40대 부부가 생활고에 시달리다가 어린 아들을 직접 살해하고 스스로 극단적 선택을 했네요.. 부모 입장에선 생활고 때문에 너무 힘들어서 더이상 살 용기는 나지 않았을 것이고, 하나뿐인 아들이 부모없이 고아원등에 위탁되어 어렵게 살아갈 모습이 걱정되니 아들을 자기들 손으로 직접 살해하고 같이 목숨을 끊었겠지요 아이를 살해한 것은 용서 받을 수 없는 일이지만,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자기 아이를 직접 살해해야만 하는 부모 심정은 얼마나 속이 문드러졌을까요.. 아이는 너무 안타깝고, 천하의 잘못을 저지른 부모도 어쨌든 세상을 떠났고...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사회 취약계층들은 이렇게 내몰려져서 삶을 포기하는데 어느 누구는 투기로 인한 빚 탕감 정책을 내보내는 한편 또 다른 누구.. 2022. 7. 26. 미국 소비자물가 전년 비 4.2% 폭등, 자산 버블 이제 거품 터질까요? 지난 새벽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 발표가 있었습니다. 당초 전망치는 3.5% 수준이었는데, 제목처럼 4.2%(MOM 0.8%)가 나와버리면서 미국 증시는 말그대로 패닉 상태가 되었네요... 특히 성장주와 ESG관련주들이 박살이 났고, 반대로 금융주와 경기 민감주는 아직 랠리를 달리고 있습니다. 머선일이고? 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인플레에 대한 위험 신호는 계속적으로 있어왔습니다. COVID-19로 인해 돈을 역대급으로 풀어대면서, 여행관련 업계를 제외하곤 전부문 오히려 성장세가 뚜렷하게 나타났고 특히 투기 심리가 극에 달해 다우지수는 3만포인트를 넘고서도 한참동안 더 달렸죠.. 자, 그럼 질문을 해보죠.. 그럼 이제 인플레가 왔을까요? 아래 이미지는 미국 인플레이션 장기차트 인데요 아직 인플레는.. 2021. 5.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