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은행금리3

금리인상 3%와 향후 부동산 전망(영끌족의 절규) 오늘 한국은행에서 금리인상을 발표했습니다. 결과는 빅스텝 2연속 빅스텝이라 체감이 아주 크게 느껴집니다. 2연속 빅스텝이다보니 부동산 시장이 크게 출렁이게 될것이라는건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겁니다. 그러다보니 각종 부동산 카페등지에서는 폭등론자와 폭락론자가 서로 치고받고 싸우는 중이죠 근데 싸우는 내용을 가만히 보자면 폭등론자들이 주장하는 요지는 집값 폭락이란 것이 경제가 무너지는 신호인데 폭락론자들이 좋아하는 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분위기입니다. 그럼 반대로 하나 묻죠 부동산으로 경제를 지탱하는 구조는 좋은 경제 구조인가요? (네 그렇습니다! 라고 하시는분 있으시면 집안에 공구함 뒤져서 망치로 본인 머리를 최대한 쎄게 내리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다시는 일어나지 않길 바랍니다.) 한국이 다른 나라에 .. 2022. 10. 12.
일본의 부동산 버블이 무너졌던 과정과 우리나라의 현실은? #저금리 로 인한 유동성자금이 부동산 버블을 촉발.. 그로 인한 서울집값의 대폭팔(순식간에 수억~수십억 호가 인상) 점점 외각으로 밀려나는 서민들 이후 엄청난 인플레로 인해 고금리를 시행할 수 밖에 없고 유동성 회수 과정에서 일어나는 버블 붕괴 주식시장이 선행하고 부동산은 후행성격을 가지지요.. 게다가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인구감소 국가... 이 상황에서 추경호 기재부 장관은 금리 인상 자제해달라고 한은에 압박을 넣지요... 적당히 좀 합시다.. 2022. 9. 27.
한국은행 금리 0.25%인상(1.25 → 1.5%)으로 부동산 가격은? 한은에서 오늘 금리 0.25% 인상 결정 하였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출완화 카드 언급한 내용이 있기도 했고, 무엇보다 한은 총재가 부재중인 상태라서 이번달은 쉬어가나 했는데 인플레 압박이 심하긴 한가봅니다. 지난 간밤에 미증시가 폭등해서 우리 증시도 긍정적으로 작용할까 했는데 금리 앞에서는 무릎을 꿇네요 자산 가격 가감에 있어서 심리적 요인도 매우 크지만, 그 심리적 요인을 잠재우는게 금리의 방향이죠.. 지금 당장은 0.25% 올랐고 그래봐야 1.5%(물론 시중금리의 가산금리는 무시못할 수준입니다만)라고 생각하겠지만, 이제 시작인걸요.. 가파른 인구감소와 최근 2년간 풀린돈의 테이퍼링.. 그리고 러ㆍ우 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파괴로 원자재 가격 폭등으로 인한 인플레... 이 모든걸 잡기위.. 2022. 4.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