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래도 직업이 에너지 관련 직업이다보니, 평소에 에너지 지표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아쉬운 점은 국내에는 에너지 지표나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 많이 없다는 것...
(특히 한국가스공사... 천연가스 수입기관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없다시피 하다.)
그래서 한국 에너지 정보는 거의 포기했고,
유럽, 미국, 일본 정보로 한국 정보를 추측, 예측하고 있다. (유럽, 미국 천연가스 재고 / 미국 시추 리그 수 / JCC 단가 등)
하나하나 정보 제공 사이트를 찾아보고 활용하다보니 나도 중구난방이 되어버리는 것이 없지 않아 있어서
이참에 내가 가진 에너지 지표, 정보 소스를 정리해 볼 겸 블로그 글로 써보기로 했다.
첫 글로서 천연가스를 정리해보고, 그다음으로 정유, 화학제품을 정리해보겠다.
동북아시아와 유럽의 LNG 천연가스 선물, 현물 단가 - JKM, TTF
JKM은 Japan/Korea Marker의 약자로서 일본과 한국이 수입하는 천연가스 현물 단가를 추종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TTF는 유럽이 수입하는 천연가스 현물단가를 추종하는 지표다.
천연가스를 수입하는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장기계약'과 'LNG 현물 수입'이 바로 그것이다.
그중에서 LNG 현물을 수입하는 경우에는 시장에서 가격이 바로바로 정해지다보니
그때그때 천연가스 수요와 공급에 따라 단가가 크게 바뀌곤 한다. (최근에는 러시아 - 우크라이나 사태로 단가 상승)
'장기계약' 물량에 대해서는 뒤에 JCC쪽에서 좀 더 깊게 얘기해보자.
우리나라의 경우 LNG 현물 수입량이 전체 수입량의 약 30%로, 적지 않은 양이기 때문에
향후 천연가스(도시가스) 단가를 예측하거나 현재의 단가를 설명하고자 할 때, JKM은 꼭 들어가게 된다.
반대로 유럽의 경우에는 장기계약이 거의 러시아와의 계약이었기 때문에 거의 끊겼다고 보면 될 것 같고
LNG 현물로 천연가스 재고를 채우고 있다.
즉, 유럽이 LNG 현물시장의 큰 손이 되어버렸고, 아시아로 가야할 LNG 현물 물량을 웃돈을 주고 유럽으로 뺏어왔기 때문에
8, 9월 JKM과 TTF 천연가스 가격이 Peak를 찍은 것이었다.
덕분에 국내 제조업 중 천연가스를 사용하는 회사들은 지금도 죽을 맛이다.
말이 너무 길었다. 그래서 동북아시아, 유럽 LNG 선물, 현물 단가 지표인 JKM과 TTF는 주로 Investing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JKM TTF LNG 천연가스 선물 단가 (출처 : Investing.com)
일본 천연가스 수입 단가와 재고 그리고 JCC
아까 했던 이야기를 계속해보자.
그러면 우리나라 천연가스 수입량의 약 70%를 차지하는 '장기계약' 물량은 무슨 단가를 추종하는가!
바로 JCC, Japan Crude Cocktail 단가다.
JCC는 일본이 수입하는 원유 단가를 월별로 정산한 단가를 금융상품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천연가스 '장기계약'물량의 단가는 JCC를 추종한다.
왜 JCC냐고? 그건... 한국가스공사에 물어보자. ㅎㅎ (대답해주지 않겠지만 ㅠ)
한국에 비해 일본의 경우에는 천연가스 지표와 정보 제공에 있어 친절한 편이다.
일본석유천연가스광물기구의 경우에는 매달 JCC, 천연가스 수입단가, 천연가스 재고 정보를 리포트로 제공하고 있다.
신기한 점은 해당 리포트에 우리나라의 천연가스 수입단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래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10월에는 우리나라가 일본, 중국보다는 비싸게, 대만보다는 싸게 천연가스를 수입해왔다.
(하고 싶은 말은 많지만, 더 하지 않기로... ㅠㅠ)
일본석유천연가스광물기구의 LNG, 천연가스 관련 월별 리포트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본석유천연가스광물기구의 월별 정기 LNG 수입 관련 리포트 - JCC, 일본 천연가스 재고, 수입단가 등 확인이 가능하다 (출처 : 일본석유천연가스광물기구)
그리고 이 JCC가 앞으로 어떻게 변동될지는, 역시 금융상품답게 JCC 선물단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원자재 및 파생상품 전문회사인 CME Group의 홈페이지를 보면 JCC 선물단가는 점진적으로 인하한 후, 70달러 후반에 수렴하게 됨을 알 수 있다.
JCC와 JCC 선물단가를 통해 우리나라 도시가스 단가도 약 6개월에 걸쳐 30, 40% 정도는 떨어지겠다고 예측할 수 있다.
(사실 주유소와 가스충전소에서는 이미 석유제품 단가가 크게 인하된지 오래인지라... 도시가스 단가 인하시기와 폭이 영 시원치 않게 느껴지기는 하다)
JCC 선물 단가는 아래의 CME Group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JCC 선물단가 (출처 : CME Group)
유럽 천연가스 재고 확인 - 로이터
올해 2월 러시아 - 우크라이나 사태로 유럽의 천연가스 재고가 부각되기는 했지만
사실 그전부터 풍력발전과 원자력발전 문제로, 2021년 겨울 유럽의 LNG 재고는 예년 대비해서 낮은 편이었다.
그 와중에 러시아가 천연가스를 수출하지 않겠다고 하니, 엎친데 덮친 격이어서 문제가 더더욱 심각해진 것이었다.
그래서 로이터에서 유럽의 천연가스 재고 수준을 생중계하는 페이지를 만들었다.
유럽 전체 천연가스 재고를 보여주기도 하지만, 각 나라별로 천연가스 재고율을 보여주는 그림도 있다.
해당 그림을 참조하자면, 그동안은 예년 대비 천연가스 재고율을 높여왔기에 문제는 없었지만
갑자기 12월 들어 유럽에 한파가 몰아치면서, 재고 소진 속도가 예년 대비 빨리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 유럽의 한파가 얼마나 빨리 끝나냐에 따라 천연가스 현물시장의 안정성이 갈리게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천연가스 LNG 현물단가가 갑자기 올라갈 수 있는 요인이 생겼기에 아쉬울 수밖에 없다.
유럽의 각 국가별 천연가스 재고 현황은 아래의 로이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2년 12월 16일 기준 EU 유럽 전체 LNG 천연가스 재고율과 각 국가별 천연가스 재고 현황
미국 천연가스 선물 단가(헨리 허브)와 재고 - 사실 그리 중요치는 않다
현재 천연가스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국가는 바로 '미국'이다.
하지만 국제 천연가스 시장에 대한 미국 천연가스 가격지표와 재고지표는 영향력이 적은 편이다.
왜? 아직 미국의 LNG 수출 터미널 용량이 그리 크지 못한 편이라, LNG 수출이 미국 천연가스 가격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약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재 시점에서는 '미국 천연가스 단가'와 '국제 천연가스 단가'는 따로 노는 경향이 강하다.
게다가 우리나라 입장에서도 미국 천연가스 단가 (헨리허브) 연동으로 LNG 수입단가를 정하는 물량은 적은 편이라
다른 천연가스 지표와 정보 대비해서는 아직까지는 미국 천연가스 선물 단가와 재고율의 중요도는 낮다.
미국 천연가스 가격 (헨리허브)는 Investing.com에서 확인할 수 있고
미국 천연가스 재고와 관련된 정보는 EIA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자.
미국 천연가스 단가, 헨리 허브라고 불린다
미국 천연가스 재고 추이 (출처 : EIA)
이렇게 내가 주로 참고하는 천연가스 지표와 정보 사이트를 정리해보았다.
혹시 이 글을 읽는 분께서 더 괜찮은 사이트를 알고 있다면, 댓글을 통해 공유해주신다면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후후애비의 잡담 > 생활의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금액 한도와 기준, 조건 오피스텔 세액 공제 등 (0) | 2023.11.18 |
---|---|
연말정산 기부금영수증 세액공제 및 한도 이월 종교기부금 주의 사항 (0) | 2023.11.12 |
08. 개인택시 면허 자격 양수와 양수 교육 방법 (0) | 2023.04.25 |
07. 개인택시 면허 자격 양수와 양수 교육 방법 (0) | 2023.04.25 |
06. 개인택시 면허 자격 양수와 양수 교육 방법 (0) | 2023.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