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이언트스텝3

금리 인상을 하면서 죄송하다고 하는 한은 총재...(대체 누구한테 죄송합니까??) 한은 총재 "앞으로 집값 더 떨어질 수도...빚낸 국민들 고통"[전문] (naver.com) 2022. 10. 13.
지난 14년간 저금리를 유지한 대가를 이제는 치뤄야겠죠... 2008년이전엔 기준 금리가 5프로대 였죠 요즘 사람들은 금리가 떨어지면 좋은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당시만 해도 금리 떨어지면 서민들은 죄다 울상이었습니다. 왜냐????? 이자를 못받으니깐… 현재의 상황에선 공감하기 어렵겠지만 당시만 해도 유행했던 재테크는 현금 10억 만들기 였죠.. (다음에 보면 카페도 있습니다. 10억만들기.. 회원수도 엄청 많아요) 10억 만들어 놓으면 연간 받는 이자만 오천만원이기에(세전으로) 평생 수령할 이자만으로도 생활이 가능하다는 논리였죠 당시직장인들은 건물주가 아니라 이자생활자가 꿈이었습니다. - 부동산가격이 2000년대 중후반에 팡 튀긴했지만 지금과 같은 거품은 아니었거든요... 근데 리만 브라더스 사태가 터지니까 갑자기 금리가 수직하락하기 시작 했습니다. 왜 그런것일까?.. 2022. 7. 18.
(청주 부동산 전망)7월 FOMC 금리 인상 전망이 역전되었네요 (0.75% -> 1.0%) 오늘 새벽에 발표된 7월 27일 연준 FOMC 금리 인상 전망이 역전되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FedWatch에 따르면 자이언트 스텝(0.75%)에서 울트라 스텝(1.0%)로 대세가 기울어지고 있는 중입니다. 7월 13일 밤에 6월 CPI 발표할 때만 해도 1.0% 인상은 40% 정도였는데 지금 보니 51%까지 상승했네요 시장의 반응을 굳이 일주일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되면 미국 금리는 2.5%~2.75%가 되고 한국과의 금리 역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0.5%의 차이를 갖게 됩니다. 참고로 한 달전만 해도 0.5% 인상이 중론이었고 일주일 전만 해도 0.75%가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습니다. 전망치보다 금리 인상 속도는 가속화되고 있는데 가히 살인적이라고 할 수준입니다.. 2022. 7.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