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 새벽에 발표된 7월 27일 연준 FOMC 금리 인상 전망이 역전되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FedWatch에 따르면 자이언트 스텝(0.75%)에서 울트라 스텝(1.0%)로 대세가 기울어지고 있는 중입니다.
7월 13일 밤에 6월 CPI 발표할 때만 해도 1.0% 인상은 40% 정도였는데 지금 보니 51%까지 상승했네요
시장의 반응을 굳이 일주일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되면 미국 금리는 2.5%~2.75%가 되고 한국과의 금리 역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0.5%의 차이를 갖게 됩니다.
참고로 한 달전만 해도 0.5% 인상이 중론이었고 일주일 전만 해도 0.75%가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습니다.
전망치보다 금리 인상 속도는 가속화되고 있는데 가히 살인적이라고 할 수준입니다.
오는 9월 점도표 역시 6월처럼 대폭 수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죠.
참고로 우리나라는 어제 금리인상 빅스텝(0.5%)을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어제 저녁 미국은 저런 상황이 됐고요..
현재 인플레를 대응하기 위해 미국은 자이언트 스텝은 기본이고 울트라 스텝(1%)까지 고려해야 한다는걸 한국은행의 유능한 직원들은 충분히 예견할 수 있었을텐데...
부자들과 부동산 갭투기꾼들을 보호하기 위한 마지막 발악이었을까요?
참으로 암울한 사실은 다음 금통위 일정이 8월 25일이네요..........
이런 상황에서 갭투기꾼들은 분명 이런 얘기를 할겁니다.
- ㅅㅂ 금리 올리라 그래 세입자한테 전가하면 되지 ㅋㅋㅋ
세상 물정 모르는 소리죠..
금리 올라서 돈줄 조여들기 시작하는데 세입자들은 뭐 돈이 주머니에서 넘쳐 흐르나요?
갭투기꾼들과 다주택자들이 선동을 해서 겨우겨우 보수정권을 만들었지만(다주택자 세금 인하를 위해)
금리앞에 속수무책이죠..
주택가격 하락과 대출원리금 상환으로 갭투기꾼들의 칠흑같은 어둠의 시기는
이제 시작입니다.
반응형
'후후애비의 잡담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주택자 종부세 완화 개편안 시뮬레이션 자료 및 개인의견 (0) | 2022.07.22 |
---|---|
지난 14년간 저금리를 유지한 대가를 이제는 치뤄야겠죠... (0) | 2022.07.18 |
일론머스크도 알고 있는 저출산 국가 대한민국 ㅠㅠ(feat. 부동산 가격은 낮아져야 한다.) (0) | 2022.05.31 |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한시 배제(2022.05.10. ~ 2023.05.09.) (0) | 2022.05.10 |
한국은행 금리 0.25%인상(1.25 → 1.5%)으로 부동산 가격은? (0) | 2022.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