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후후애비의 잡담/부동산

지난 14년간 저금리를 유지한 대가를 이제는 치뤄야겠죠...

by 후후애비 2022. 7. 18.
반응형

 

 

 

2008년이전엔 기준 금리가 5프로대 였죠
 
요즘 사람들은 금리가 떨어지면 좋은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당시만 해도 금리 떨어지면 서민들은 죄다 울상이었습니다.
 
왜냐?????
이자를 못받으니깐…
 
현재의 상황에선 공감하기 어렵겠지만 당시만 해도 유행했던 재테크는
현금 10억 만들기 였죠..
(다음에 보면 카페도 있습니다. 10억만들기.. 회원수도 엄청 많아요)

 
10억 만들어 놓으면  연간 받는 이자만 오천만원이기에(세전으로)
평생 수령할 이자만으로도 생활이 가능하다는 논리였죠
당시직장인들은 건물주가 아니라 이자생활자가 꿈이었습니다.
 - 부동산가격이 2000년대 중후반에 팡 튀긴했지만 지금과 같은 거품은 아니었거든요...
 
근데 리만 브라더스 사태가 터지니까
갑자기 금리가 수직하락하기 시작 했습니다.
 

왜 그런것일까?
주가를 방어하려고 경제침체 될까봐였죠
 
투자자들 빠져나가고 소비가 위축되면  기업이 다 나락으로 가니까요
 
이후 이 저금리 정책을 무려 14년을 유지했습니다.
곰곰히 생각해보면 애초에 그렇게 오랫동안 유지할 생각은 없었을겁니다.
 
2012년에 좀 올렸고
2017년도에 올릴려다 말았으니....
 
 

 

하지만 그때는 올렸어야 했어요
왜냐?
상식적으로 금리가 낮으면 내는 이자가 줄어야 하는데
부채의 엄청난 증가로 전체 이자규모는 점점 커지는 상황이 오는거죠...

 
근데 정부는(박근혜, 이명박, 문재인) 그러든 말든 냅뒀지요..
 

왜냐?
가계부채를 키워서 부동산을 띄우면
경제성장률이 두배나 높아지는 모래성같은 마법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었죠 
대선이나 총선을 앞에두고 지지율을 신경쓰는
정치인들이 이런 달콤한 유혹을 뿌리칠 수는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면서 총선, 대선 다끝난 19년 정도에 금리 올리지 뭐...라고 안이한 생각을 했을 것인데
문제는 20년 코로나가 빵 터졌고
미국에서는 경기침체를 막기위해 엄청난 돈을 풀어버렸고

 

우리도 어쩔 수 없이 금리를 낮게 유지해야 했죠..
소비활성화를 위해…
 
근데 문제는....그돈이 부동산으로 더 들어갑니다.
정부는 그런 사태를 막기위해 이런저런 대책을 내놓았지만 헛수고였죠..
 - 문재인 정부에서 주택가격을 낮추려고 노력을 안한게 아니에요... 정말 열심히 했지만 금리라는 거대한 파도를 막아내기가 어려웠던거죠...
 
결과적으로 부채규모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불어납니다.
2천조에 육박하고 마침내 세계 1위를 찍습니다.

 - 이런거는 세계 1위 안찍어도 되는데 말이죠.... 저출산... 등등 ㅠㅠ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더 큰 문제가 발생합니다.
코로나가 종식될 기미가 보이고 그동안 코로나 방역에 지쳤던 사람들은
하나둘씩  나와서 돈을 쓰기 시작합니다.

 

게다가 전쟁까지 터지고 기름 한방울 안나는 우리나라는 휘발유/경유 1리터 2천원 이상이라는 가격을 이명박 정부이후로 10년 만에 맞이하게 되죠..

 

어라? 
물가가 너무 오르네....
 

 

게다가 글로벌 패권을 가지고 있는 미국이 앞장서 금리를 올리기 시작합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에 맡긴 돈을 빼서 미국으로 돌아가기 시작합니다.
증시는 외국인들이 주구장창 매도버튼만 누릅니다.
한읍 입장에선 더이상 이탈 자금이 생기지 않으려면 금리를 올리지 않을 수 없게 되죠...
 
그러나......
우리나라는 이미 걷잡을 수 없이 불어난  부채가 있는데
어떻게 금리를 올린단 말입니까?
 
하지만 안올릴순 없으니 마지못해 올린 것이 0.75에 턱없이 모자란 빅스텝..0.5프로를 올렸는데요
 
 

 

단순히 계산해보시죠...
2천조의 0.5프로면 10조입니다.
 
아무것도 안했는데
대구광역시 일년 예산이 통째로 날라가는 것이죠...
정부는 고민을 할겁니다.
재무건전성을 위해서 지금이라도 금리를 올릴 것인가? 뼈아픈 고통을 감내하고 수술을 받을 것인가?
아니면 내정권 내임기만 아니면 된다!!! 라고 외치고 깜깜이로 눈가리고 아웅하며 거품으로 떠받친

가짜 경제성장률을 만들것인가..?
 

어떻게 될지 한번 지켜보시죠..

출산율 늘지 않는데는 다 이유가 있죠..
 

 

아직도 부동산 투자가 최고다라는 사람이 있을지??
 
앞으로의 경제 상황이 캄캄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