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은에서 오늘 금리 0.25% 인상 결정 하였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출완화 카드 언급한 내용이 있기도 했고,
무엇보다 한은 총재가 부재중인 상태라서 이번달은 쉬어가나 했는데 인플레 압박이 심하긴 한가봅니다.
지난 간밤에 미증시가 폭등해서 우리 증시도 긍정적으로 작용할까 했는데
금리 앞에서는 무릎을 꿇네요
자산 가격 가감에 있어서 심리적 요인도 매우 크지만,
그 심리적 요인을 잠재우는게 금리의 방향이죠..
지금 당장은 0.25% 올랐고 그래봐야 1.5%(물론 시중금리의 가산금리는 무시못할 수준입니다만)라고 생각하겠지만,
이제 시작인걸요..
가파른 인구감소와 최근 2년간 풀린돈의 테이퍼링.. 그리고 러ㆍ우 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파괴로 원자재 가격 폭등으로 인한 인플레...
이 모든걸 잡기위해(정상적으로 돌리기위해) 금리는 계속 오를겁니다.
무리하게 투자하지 마세요..
지난 2년간 미친듯이 올랐던 자산가격의 거품 빠짐은 이제 시작이거든요..
- 근데 원자재 공급부족으로 분양가가 낮아지진 않을거라는게 함정 ㅠㅠㅠㅠㅠㅠ
- 원자재 가격 인상으로 자산가격 거품은 생각보다 아주 천천히 걷혀질것 같네요..
아효....원자재 공급망은 언제쯤 돌아오려나
반응형
'후후애비의 잡담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난 14년간 저금리를 유지한 대가를 이제는 치뤄야겠죠... (0) | 2022.07.18 |
---|---|
(청주 부동산 전망)7월 FOMC 금리 인상 전망이 역전되었네요 (0.75% -> 1.0%) (0) | 2022.07.14 |
일론머스크도 알고 있는 저출산 국가 대한민국 ㅠㅠ(feat. 부동산 가격은 낮아져야 한다.) (0) | 2022.05.31 |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한시 배제(2022.05.10. ~ 2023.05.09.) (0) | 2022.05.10 |
미국의 30년 모기지금리 4.27%... ㄷㄷ (0) | 2022.03.18 |
댓글